스트루프 효과와 웹 마케팅 전략 본문

마케팅

스트루프 효과와 웹 마케팅 전략

곰씨네 2017. 1. 17. 15:55

본 포스팅 시리즈에서는 마케팅에서 사용되고 있는 각종 용어에 대한 설명 및 적용 사례에 대해서 정리하였습니다. 



1. 스트루프 효과

스트루프 효과 (stroop effect) 는 동시에 눈으로 들어오는 정보가 서로 간섭하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즉, 파랑이라는 글자를 빨강색 펜으로 쓰고 빨강이라는 글자를 파란색 펜으로 쓰는 경우와 같이 글자가 나타내는 의미가 실제 색상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를 본 사람들은 이 글자의 색을 말하는데 더 많은 시간이 걸린다는 J.R.Stroop 의 실험 결과에 따라 나온 개념입니다. 이 스프루프 효과를 측정하는 검사를 스트루프 테스트라고 하며 이는 임상의학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 테스트는 선택적 주의, 인지적 유연성의 정도를 측정하여 검사대상자의 실행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도구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만약 뇌손상이나 치매, 정신 분열증 같은 정신 장애를 가진 사람들에게는 이 스트루프 효과에 의한 인지적 간섭효과가 더욱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2. 스트루프 효과와 마케팅 전략

- 마케팅에서 이 스트루프 효과가 갖는 의미는 스트루프 효과를 이용한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아니라 고객에게 스트루프 효과가 일어나지 않도록 미연에 방지하여야 한다는 것 입니다. 즉, 고객의 입장에서 혼란을 가져 올 수 있는 마케팅을 지양하여야 한다는 것입니다.


- 흔한 예로 삼성하면 파랑, 엘지하면 빨강색이 기업 고유의 색으로 여겨지고 있는데 삼성 상품을 홍보하면서 빨간색 계열의 색상을 많이 사용한다던지, 엘지 상품을 홍보하면서 파랑색 계열의 색상을 많이 사용한다던지 하는 마케팅은 스트루프 효과를 촉발 시킬 수 있으므로 지양하여야 합니다.


- 웹사이트나 쇼핑몰을 만들 때도 각 페이지에 있는 텍스트, 사진, 음악, 동영상이 미스매치 되지 않도록 하여야 합니다. 텍스트로는 수 많은 고객이 몰리는 가게라고 적어놓고 사진에는 썰렁한 가게 모습의 사진을 올린다거나 열정적인 직원이라고 적어놓고 무표정한 직원들의 사진을 올려놓아서는 안 되겠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