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포스팅 시리즈에서는 마케팅에서 사용되고 있는 각종 용어에 대한 설명 및 적용 사례에 대해서 정리하였습니다.
1. 플라시보 효과
플라시보 효과는 이른 바 가짜 약효과를 의미합니다. 다른 말로 위약 효과라도 하는데요. 환자에게 가짜 약을 투여하면서 진짜 약이라고 속이면 환자는 스스로 건강이 좋아질 것이라 생각하는 믿음 때문에 정말로 병이 낫는 현상을 말합니다. 실제로 이런한 의료 행위는 세계 제2차 대전 때 약이 부족한 상황에서 많이 쓰이기도 했다고 합니다. 다만 이러한 위약 효과를 노린 행위는 환자와 의사간의 신뢰를 깨뜨려버리는 중대한 문제를 야기할 수도 있으므로 그러한 위험 때문에 현재는 실제 치료에서는 거의 사용되지 않고 있다고 합니다.
2. 플라시보 효과와 마케팅 전략
- 위에서 기술한 것 처럼 환자와 의사간의 신뢰가 무너질 수 있는 문제가 있는 것처럼 플라시보 효과를 마케팅에 적용할 때는 소비자와의 신뢰를 깨뜨리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 즉, 아무리 마케팅이라지만 정말로 상품까지 가짜를 사용해서는 안 된다는 의미입니다.
- 경품 행사나 사용자 이벤트 등에 있어서 플라시보 효과를 적용할 수도 있습니다.
- 뿐 만 아니라 홍보 문구에 있어서도 강렬한 어휘를 사용함으로써 플라시보 효과를 노려볼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칫솔 같은 경우 충치 예방효과만이 아니라 "압도적 화이트닝 효과" 와 같이 문장에 극적, 경이, 경악, 압도, 파괴, 즉효, 순식간, 미친듯이 빠른 등의 일상적으로 흔히 쓰이지 않는 어휘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